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29

인보이스 vs 프로포마 인보이스 PI, 뭐가 다를까? 국제 거래나 수출입 업무를 하다 보면 꼭 마주하게 되는 문서 중 하나가 **인보이스(Invoice)**입니다. 그런데 가끔은 비슷한 형태의 문서인 **프로포마 인보이스(Proforma Invoice)**도 등장하죠. 생김새는 비슷하지만, 두 문서는 용도와 법적 효력이 다릅니다.오늘은 이 둘의 차이점에 대해 깔끔하게 정리해볼게요!✅ 인보이스(Invoice)란?인보이스는 말 그대로 거래가 실제로 이루어진 후 발행되는 청구서입니다. 구매자가 판매자에게 대금을 지불해야 할 내역이 담겨 있는 공식 문서로, 회계 처리나 세관 신고에도 사용돼요.✔ 주요 특징실제 거래에 근거해 발행제품명, 수량, 단가, 총액, 인도조건, 결제 조건 등 포함세금 및 운임 비용 포함법적 효력이 있는 청구서수출입 시 통관 서류로 사용 가능.. 2025. 4. 26.
💰 마진 계산하는 법 – 뜻, 공식, 마진율, 이익률 사업을 하거나 중고 거래, 수입 판매, 쇼핑몰 운영 등을 하다 보면 **"마진"**이라는 단어를 자주 듣게 됩니다. 하지만 마진이라는 말은 알아도 정확하게 어떻게 계산하는지, 혹은 마진율과 이익률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고 있는 사람은 의외로 적어요.오늘은 마진 계산하는 법과 함께, 기본 개념부터 실전 활용 팁까지 하나하나 알아볼게요!🔍 마진(Margin)이란?간단히 말해서 마진은 판매가격에서 원가를 뺀 금액입니다.즉, 내가 한 개를 5,000원에 사서 10,000원에 팔았다면, 마진은 5,000원인 거죠.💡 기본 공식마진 = 판매가 – 원가예:원가: 7,000원판매가: 10,000원→ 마진: 10,000 - 7,000 = 3,000원📈 마진율(Margin Rate) 계산법마진의 '비율'을 알고 싶다.. 2025. 4. 23.
📘 재무제표란 무엇인가?– 영어 표현과 함께 쉽고 정확하게 알아보기 – 회계나 기업 분석, 혹은 경영 관련 업무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반드시 접하게 되는 개념이 바로 재무제표입니다.그런데 이 재무제표는 영어로 뭐라고 할까요? 또, 각각의 항목들은 어떤 의미를 갖고 있을까요?오늘은 재무제표의 기본 구조와 주요 항목들을 영어 표현과 함께 한눈에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재무제표란?재무제표는 기업의 재무 상태와 경영 성과를 숫자로 보여주는 보고서입니다.쉽게 말해, 회사가 얼마나 벌고, 어떻게 쓰며, 무엇을 갖고 있고, 얼마나 빚이 있는지를 보여주는 문서죠.영어로는 Financial Statements라고 부릅니다.📊 재무제표의 4가지 핵심 구성1. 재무상태표 (Balance Sheet)특정 시점에 회사가 가진 자산, 부채, 자본을 보여주는 표입니다.회사의 ‘재정.. 2025. 4. 18.
관세란 무엇인가? 정의, 종류, 중요성 관세는 특정 국가에서 수출입되는 상품에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각국 정부는 자국의 경제를 보호하고, 공공 수입을 증대시키며, 특정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세금을 부과하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관세입니다. 관세는 수출입하는 상품에 대해 부과되며, 국가 간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제 관세의 정의와 그 역할, 종류, 그리고 중요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관세의 정의관세는 국경을 넘는 상품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으로, 주로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재정적 목적: 국가 재정에 기여하는 역할을 합니다. 수입품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은 국가의 수입원을 늘리고, 이를 통해 공공서비스나 복지, 인프라 등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무역 정책적 목적: 자국의 산업을 보호하고, 외국산 제품에.. 2025. 4. 17.
💸 TT Payment vs. Net 30, 어떻게 다른 걸까? 국제 무역이나 기업 간 거래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결제 용어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많이 혼동되는 두 가지가 바로 TT Payment와 Net 30입니다.두 표현 모두 “결제를 어떻게 할 것인가”를 설명하는 용어지만, 결제 방식도 다르고 의미도 확실히 구분됩니다.오늘은 이 두 용어의 개념과 차이를 알아보고, 실무에서는 언제 어떻게 사용하는지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TT Payment란?TT는 Telegraphic Transfer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전신 송금 또는 은행 송금이라고 부릅니다.가장 보편적이고 전 세계적으로 많이 쓰이는 선결제 방식 중 하나예요.TT Payment는 은행을 통해 송금하는 국제 결제 방식으로, 특히 수출입 거래나 해외 공급업체와의 거래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TT .. 2025. 4. 17.
인코텀즈에서 실무자들이 자주 쓰는 FCA 조건이란? 🚛 인코텀즈에서 실무자들이 자주 쓰는 FCA 조건이란?국제 무역 거래에서 빠질 수 없는 인코텀즈(Incoterms)는,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책임과 비용, 위험을 명확하게 구분해주는 중요한 기준이다. 그중에서도 오늘은 FCA(Free Carrier) 조건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한다.FCA는 특히 복합 운송(트럭+해상, 항공 등)이 많은 전자부품, 기계 산업에서 자주 쓰이는 조건이다.📦 FCA란?**FCA (Free Carrier)**는 “지정 운송인 인도조건”으로 번역된다.간단히 말하면, 판매자가 정해진 장소(예: 운송업체나 항구, 창고 등)까지 상품을 운송하여 인도하고, 그 이후의 책임은 구매자가 지는 조건이다.📌 FCA = 판매자는 상품을 지정된 운송업체에게 넘기기 전까지 책임지고, 이후부터는 구.. 2025. 4.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