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국제무역 인코텀즈 중 하나, DAP 조건이란?

by 노르딕레나 2025. 4. 12.
반응형

 

🚚 국제무역 인코텀즈 중 하나, DAP 조건이란?

국제무역을 하다 보면 종종 듣게 되는 용어 중 하나가 바로 **인코텀즈(Incoterms)**다. 이는 국제 상업 거래 조건을 정리한 국제 규칙으로, 매도인(판매자)과 매수인(구매자) 사이의 책임, 비용, 위험 부담이 어디까지인지 명확하게 구분해준다.
그중에서도 오늘은 실무에서 자주 쓰이는 DAP(Delivered At Place) 조건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한다.


📦 DAP란 무엇인가?

DAP는 **"인도 장소 인도조건(Delivered At Place)"**의 약자다. 간단히 말하면, 판매자가 수입국 내 지정 장소까지 물건을 배송해주는 조건이다.
즉, 운송에 대한 대부분의 책임은 판매자가 지지만, 통관 및 관세는 구매자 부담이라는 점이 핵심이다.

🔹 DAP 조건에서는 지정 장소까지의 운송비와 운송 중 발생하는 위험을 판매자가 부담한다. 하지만 수입국에서의 통관 및 세금 납부는 구매자의 몫이다.


🧭 DAP 조건의 흐름

아래는 DAP 거래의 전반적인 흐름이다:

  1. 판매자가 물품을 준비하고 포장
  2. 판매자가 국제 운송을 책임지고, 수출국의 통관 절차 진행
  3. 구매자 국가 내의 지정 장소(예: 창고, 항구, 공장 등)까지 운송
  4. 구매자가 수입 통관 진행 및 관세 납부
  5. 해당 장소에서 인도 완료

예시)
한국에 있는 A사는 독일에 있는 B사로부터 전자 부품을 DAP 조건으로 구매했다.
B사는 독일에서 부품을 포장하고 항공으로 한국까지 보내며, 한국 내 A사의 물류창고까지 배송한다.
이 과정에서 배송비와 리스크는 B사가 감당하지만, 세관 신고와 관세 납부는 A사가 직접 처리한다.


✅ DAP의 장점

  • 구매자 입장에서는 복잡한 국제 운송을 직접 처리할 필요 없이, 정해진 장소에서 물건만 수령하면 되므로 편리하다.
  • 판매자 입장에서는 운송 과정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할 수 있어, 고객 신뢰를 높일 수 있다.
  • 수입국에서의 절차(관세 등)는 구매자가 직접 관리하므로, 법적 책임이 분산된다.

⚠️ 주의할 점

  • 지정 장소 선정이 매우 중요하다. 너무 복잡하거나 접근이 어려운 장소를 지정하면, 배송 지연 및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 DAP 조건에서는 판매자가 수입 통관을 하지 않기 때문에, 구매자는 통관에 대한 전문 지식 또는 **포워더(통관 대행업체)**와의 협업이 필요하다.
  • 예상치 못한 세금, 부가세, 통관료 등은 구매자 부담이므로, 이를 미리 예측하고 준비해야 한다.

🤔 DAP vs DDP vs CPT 차이점

조건 통관 책임 배송 책임 관세 부담

DAP 수입국 통관은 구매자 판매자가 지정 장소까지 구매자
DDP 수입국 통관도 판매자 판매자가 전부 책임 판매자
CPT 수출국 기준 구매자 판매자는 운송비만 부담 구매자

DAP는 중간 단계의 조건으로, 비용과 책임이 균형 있게 나뉘어 있는 편이다.


🧾 실무 팁

  1. 계약서에 “정확한 인도 장소”를 명시할 것
    → 예: “DAP – 123, Seongnam-daero, Bundang-gu, Seongnam-si, Korea”
  2. 인도 장소에서의 하역(언로드) 여부는 명확히 할 것
    → DAP는 원칙상 하역은 포함하지 않음. 필요 시 DPU 조건 고려.
  3. 수입 통관 전문성 있는 업체와 협업 추천
    → 구매자가 통관을 직접 하기 어려울 경우, 전문 포워더와 협업 필요

✍️ 마무리

국제 거래에서 조건 하나가 전체 프로젝트의 흐름과 비용 구조를 바꿀 수 있다.
DAP 조건은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에게 합리적인 분담을 제공하며, 특히 물류를 어느 정도 책임지고 싶지만 통관까지는 맡기고 싶지 않은 경우에 좋은 선택지다.

구매 담당자, 물류 관리자, 무역 실무자라면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DAP 조건, 오늘 정리한 내용으로 업무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