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을 하거나 중고 거래, 수입 판매, 쇼핑몰 운영 등을 하다 보면 **"마진"**이라는 단어를 자주 듣게 됩니다. 하지만 마진이라는 말은 알아도 정확하게 어떻게 계산하는지, 혹은 마진율과 이익률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고 있는 사람은 의외로 적어요.
오늘은 마진 계산하는 법과 함께, 기본 개념부터 실전 활용 팁까지 하나하나 알아볼게요!
🔍 마진(Margin)이란?
간단히 말해서 마진은 판매가격에서 원가를 뺀 금액입니다.
즉, 내가 한 개를 5,000원에 사서 10,000원에 팔았다면, 마진은 5,000원인 거죠.
💡 기본 공식
마진 = 판매가 – 원가
예:
- 원가: 7,000원
- 판매가: 10,000원
→ 마진: 10,000 - 7,000 = 3,000원
📈 마진율(Margin Rate) 계산법
마진의 '비율'을 알고 싶다면, 마진율이라는 개념을 써요.
이건 판매가 기준으로 이익이 얼마나 남았는지를 나타낸 수치예요.
💡 공식
마진율 (%) = (마진 ÷ 판매가) × 100
예:
- 판매가: 10,000원
- 원가: 7,000원
- 마진: 3,000원
→ 마진율 = (3,000 ÷ 10,000) × 100 = 30%
즉, 전체 판매 금액의 30%가 순이익이라는 뜻이에요.
📊 이익률(Profit Margin)과의 차이
마진율과 비슷한 개념으로 이익률이라는 단어도 자주 쓰여요. 하지만 기준이 달라요.
- 마진율: 판매가 기준
- 이익률: 원가 기준
💡 이익률 공식
이익률 (%) = (마진 ÷ 원가) × 100
위 예시로 보면:
- 마진: 3,000원
- 원가: 7,000원
→ 이익률 = (3,000 ÷ 7,000) × 100 = 약 42.85%
둘은 계산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해요.
📘 실무에서는 어떻게 활용할까?
1. 판매 가격을 정할 때
예를 들어 10,000원짜리 원가 상품에 30% 마진을 붙이고 싶다면?
판매가 = 원가 ÷ (1 - 마진율)
→ 10,000 ÷ (1 - 0.3) = 약 14,285원
즉, 10,000원짜리 물건을 30% 마진으로 팔려면 14,285원 이상에 팔아야 해요.
2. 비용까지 고려한 계산
판매가는 단순히 원가 + 마진이 아니에요.
배송비, 광고비, 인건비, 수수료 등 각종 비용을 고려해야 진짜 마진이 나옵니다.
순이익 = 판매가 - (원가 + 기타비용)
비용이 많을수록 마진율은 낮아지겠죠.
3. 해외구매대행, 수입품 판매
해외에서 제품을 사올 경우
- 상품가
- 배송비
- 통관/관세
- 환율
- 마진
까지 고려해 판매가를 정해야 해요.
이때 마진 계산은 필수 중의 필수!
✅ 마진 계산 간단 요약
항목 공식
마진 | 판매가 - 원가 |
마진율 | (마진 ÷ 판매가) × 100 |
이익률 | (마진 ÷ 원가) × 100 |
원하는 마진율로 판매가 정하기 | 원가 ÷ (1 - 마진율) |
✏️ 마무리하며
마진 계산은 단순히 숫자를 계산하는 게 아니라, 수익성과 효율성을 판단하는 기본 도구예요.
특히 쇼핑몰, 유통, 무역, 중고거래, 부업 등 판매 관련 일을 하고 있다면 꼭 익혀야 할 필수 스킬이죠.
복잡하지 않으니 오늘부터 하나씩 적용해보세요.
엑셀을 활용하거나, 마진 계산 앱이나 간단한 계산기로도 쉽게 할 수 있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보이스 vs 프로포마 인보이스 PI, 뭐가 다를까? (1) | 2025.04.26 |
---|---|
📘 재무제표란 무엇인가?– 영어 표현과 함께 쉽고 정확하게 알아보기 – (0) | 2025.04.18 |
관세란 무엇인가? 정의, 종류, 중요성 (0) | 2025.04.17 |
💸 TT Payment vs. Net 30, 어떻게 다른 걸까? (0) | 2025.04.17 |
인코텀즈에서 실무자들이 자주 쓰는 FCA 조건이란? (0) | 2025.04.12 |